이번 금융 교육 시간은 FOMC란 무엇인지, FOMC 발표 및 일정 그리고 FOMC 점도표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FOMC
FOMC란 무엇인지 그 정의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OMC 란 무엇인가?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약칭 Fed)의 핵심 정책 기구로, 미국의 통화 정책을 수립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FOMC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Fed)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국의 경제 상황에 맞춰 금리 및 통화 정책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국제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FOMC의 구성
FOMC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7명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Board of Governors)의 이사들(워싱턴 D.C. 에 상주)이고, 이들은 대통령에 의해 임명이 되며, 그리고 상원의 동의를 받으며, 연방준비제도의 핵심 정책 결정 기구입니다.
현재 FOMC 의장은 제롬 파월(Jerome H. Powell) 입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FRBNY)은 미국의 금융 중심지에 위치하며, 공개시장운영을 직접 담당하고 실행하는 기관인 만큼, 총재는 항상 FOMC의 당연직 위원으로 항상 투표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존 윌리엄스(John C. Williams)입니다.
나머지 11개 연방준비은행 총재 중 4명은 1년씩 돌아가며 FOMC 위원으로 참여를 합니다.
FOMC 역할과 기능
FOMC는 주로 미국의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Federal Funds Rate)를 설정하고,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Operations, OMO)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주요 결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FOMC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미국의 통화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며, 물가 안정 (Inflation targeting), 최대 고용 (Maximum employment), 중장기적으로 안정된 금리 수준 유지 등 결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고 합니다.
1. 연방기금금리(Fed Funds Rate) 목표 범위 결정
연방기금금리는 은행들이 서로 간에 초단기 자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를 말하며, FOMC의 목표 범위 설정은 시장 금리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경제 전반의 차입 비용과 신용 상황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 양적완화(QE) 또는 긴축(QT) 정책 시행 여부 및 지시
FOMC는 설정된 통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뉴욕 연방준비은행(FRBNY)의 트레이딩 데스크를 통해 국채 등 유가증권의 매매(공개시장운영, Open Market Operations)를 지시합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를 낮추기 위해 FOMC는 시장에서 국채를 매입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이는 연방기금금리를 목표 범위 내로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며 반면, 금리를 인상하기 위해서는 국채를 매도하여 유동성을 흡수합니다.
3. 국채 및 MBS(주택저당증권) 매입, 매도 여부
1.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경제 침체나 금융 시장 불안 시기에 FOMC는 국채나 MBS를 매입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데, 이는 장기 금리를 낮추고, 금융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며, 경제 활동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FOMC가 자산을 매입하면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이 증가하고, 이는 대출 여력을 늘려 기업 투자와 가계 소비를 장려할 수 있습니다.
2. 양적 긴축 (Quantitative Tightening, QT)
경제 회복기에 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FOMC는 보유한 국채나 MBS를 매도하거나,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의 재투자를 중단하여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을 시행하는데, 이는 장기 금리를 상승시키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며, 과도한 경제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FOMC가 자산을 매도하면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이 감소하고, 이는 대출 여력을 줄여 경제 활동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3. 국채 매입 및 매도
FOMC는 국채 매입 및 매도를 통해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유지하고, 장기 금리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금융 환경을 조절합니다.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국채를 매입하여 장기 금리를 낮추고 투자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는 국채를 매도하여 유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MBS(주택저당증권) 매입 및 매도
금융 위기 이후, 특히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FOMC는 MBS 매입을 통해 주택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고 모기지 금리를 낮추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을 하였는데, 이는 주택 구매력을 높이고 건설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택 시장의 과열이나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을 때는 MBS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FOMC 회의 일정 및 발표
- 연 8회 (약 6주 간격) 정기 회의
- 회의 종료일에는 FOMC 성명서(Statement) 발표
- 분기별(연 4회)로는 경제전망(SEP,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과 점도표(Dot Plot) 발표
- 회의록은 약 3주 후에 공개
FOMC는 연간 8번의 정례 회의를 개최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특별 회의를 열기도 합니다.
회의는 일반적으로 이틀 동안 진행되며, 첫째 날에는 경제 상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둘째 날에는 통화 정책 방향을 결정합니다.
회의 결과는 회의 직후 성명서 형태로 발표되며, 약 3주 후에는 회의록이 공개됩니다.
특히, 3월, 6월, 9월, 12월 회의 후에는 경제 전망 요약(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 SEP)이 함께 발표되어 향후 금리 전망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됩니다.
2025년 FOMC 회의 일정
현재까지 발표된 2025년 FOMC 정례 회의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28일 - 29일
- 3월 18일 - 19일*
- 5월 6일 - 7일
- 6월 17일 - 18일*
- 7월 29일 - 30일
- 9월 16일 - 17일*
- 10월 28일 - 29일
- 12월 9일 - 10일*
* 표시는 경제 전망 요약(SEP) 발표 예정 회의 표시입니다.
오늘(2025년 5월 7일)은 FOMC 회의 둘째 날이며, 한국 시간으로는 내일 새벽(5월 8일)에 회의 결과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금리 변동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힌트에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FOMC 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들
FOMC 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시장 (Stock Market)
- 금리 인상: 주식시장은 대체로 하락, 기업 대출비용 증가, 소비 둔화가 우려
- 금리 인하: 주식시장은 대체로 상승, 유동성 확대, 소비 및 투자 증가를 기대
2. 채권시장 (Bond Market)
-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수익률 상승
- 금리 인하: 채권 가격 상승, 수익률 하락
특히 미국 국채 수익률(예: 3년물)은 시장 전반의 금리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3. 환율 시장 (Foreign Exchange Market)
- 금리 인상: 달러 강세, 해외 자금 유입 증가
- 금리 인하: 달러 약세, 금리 매력 감소, 자금 유출 가능성
달러 강세는 원자재 가격 하락, 신흥국 통화 약세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4. 원자재 시장 (Commodities)
- 달러 강세: 금, 석유 등 원자재 가격 하락
- 금리 인하: 인플레이션 우려, 금값 상승 가능성
5. 부동산 시장 (Real Estate)
- 금리 인상: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 상승, 주택 수요 감소
- 금리 인하: 대출 이자 부담 감소, 주택 구매 수요 증가
6. 실물경제 전반 (Real Economy)
- 금리 인상: 소비 및 투자 위축, 경제 성장 둔화, 인플레이션 억제
- 금리 인하: 소비 및 투자 촉진, 경기 부양,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FOMC 점도표 보는 곳
FOMC의 점도표(Dot Plot)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이 향후 기준금리 경로에 대한 전망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자료이며, 각 점은 개별 위원의 연말 기준금리 예상치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시장은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점도표는 2025년 3월 19일에 발표된 경제전망 요약(SEP) 자료에 포함되어 있으며, 아래 자료는 연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준공식 웹사이트 점도표 링크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iles/fomcprojtabl20250319.pdf?utm_source=chatgpt.com
점도표 보는 방법
1) 각 점의 의미
각 점은 한 명의 FOMC 위원이 해당 연말에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기준금리 수준을 나타냅니다.
2) 연도별 분포
일반적으로 현재 연도부터 2~3년 후, 그리고 장기적인 전망까지 포함을 하고 있습니다.
3) 중앙값
점들의 중앙값을 통해 연준 위원들의 평균적인 금리 전망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2025년 3월 발표된 점도표 예시
1) 2025년 말
기준금리는 3.75%~4.00%로 예상하는 위원이 가장 많았습니다.
2) 2026년 말
기준금리는 3.25%~3.50%로 추가 인하를 예상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3) 2027년 및 장기 전망
점도표는 장기적으로도 완만한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와 경제 성장 둔화를 고려하여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전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자료
2024.07.30 - [금융교육] - 금리 인하와 주식시장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 란
금리 인하와 주식시장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 란
금리인하와 주식시장 관계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 시장은 왜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고, 또 연준(Fed)의 금리인하 발언에 주목하는
iluilukr.tistory.com
'금융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지I&C 주식 주가 전망: 신주인수권증서, 유상증자, 무상증자, 감자, 전환사채 총정리 (0) | 2025.05.09 |
---|---|
주식 차트 보는 법: 캔들, 차트 종류, 차트분석 방법, 거래량 보는 법, 보조지표 총정리 (7) | 2025.05.04 |
코덱스 레버리지(KODEX)와 코덱스(KODEX) 인버스 ETF 그리고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총정리 (4) | 2025.05.02 |
키움 증권 환전 및 외화 이체 그리로 원화 주문 서비스 방법 총정리 (2) | 2025.04.24 |
주식투자 방법, 주식 종목 찾는 법 그리고 급등주 찾는 법 완벽 정리 (7)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