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교육

코덱스 레버리지(KODEX)와 코덱스(KODEX) 인버스 ETF 그리고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총정리

by 차트는말한다 2025. 5. 2.
반응형
 

 

코덱스 레버리지(KODEX)와 코덱스 인버스 ETF 그리고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총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KODEX(코덱스) 레버리지 ETF

KODEX(코덱스) 레버리지 ETF 뜻과 정의 그리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형

 

1. 코덱스 레버리지 ETF란 무엇인가?

코덱스(KODEX) 레버리지 ETF는 삼성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KOSPI 20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X배 수로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된 일종의 펀드 상품이며, 거래소에 ETF 상품을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집합투자 상품입니다.

 

즉, KOSPI 200 지수가 1% 상승하면 KODEX 레버리지 ETF는 2% 상승하고, 반대로 1% 하락하면 2% 하락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2. 코덱스 레버리지 ETF의 특징은 무엇인가?

1. 2X배 수익 추구

KOSPI 200 지수가 1% 상승하면 KODEX 레버리지 ETF는 2% 상승하는 반면, 1% 하락하면 2% 하락하는 방식으로 움직입니다.

코덱스 레버리지는 KOSPI 200 지수의 상승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이 되겠습니다.

 

2. 높은 변동성

코덱스 레버리지 ETF 상품은 기초 지수의 변동폭을 2X 배로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KOSPI 200 ETF 보다 변동성이 훨씬 크며, 이는 높은 수익 가능성과 동시에 큰 손실 가능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습니다.

 

3. 단기 투자에 적합

코덱스 레버리지 ETF는 일별 수익률을 추종하고,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 효과의 왜곡으로 인해 KOSPI 200 지수의 누적 수익률과 KODEX 레버리지 ETF의 누적 수익률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장이 횡보하거나 변동성이 큰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적인 시장 방향성 예측에 활용하는 것이 보다 일반적입니다.

 

3. 거래의 용이성

코덱스 레버리지 ETF는 일반 주식처럼 한국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어 접근성이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많은 투자자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낮은 운용 보수

코덱스 레버리지 ETF는 일반적인 액티브 펀드에 비해 운용 보수가 낮은 편입니다.

 

KODEX(코덱스) 인버스 ETF

KODEX(코덱스) 인버스 ETF 뜻과 정의 그리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코덱스(KODEX) 인버스 ETF란 무엇인가?

코덱스(KODEX) 인버스 ETF 역시 삼성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ETF 상품으로, F-KOSPI 20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1배 수로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된 일종의 펀드 상품이며, F-KOSPI 200 지수는 KOSPI 200 선물 지수를 의미합니다.

 

KODEX 인버스 ETF는 KOSPI 200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얻고, 상승할 때 손실을 보는 구조를 가진 펀드 상품이 되겠습니다.

 

2. 코덱스 인버스 ETF의 특징은 무엇인가?

1. 역방향 수익형 추구

KOSPI 200 지수가 하락 시 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상품으로, KOSPI 200 지수가 1% 하락하면 KODEX 인버스 ETF는 1% 상승하고, 반면 지수가 1% 상승하면 1% 하락합니다.

 

2. 하락장 헤지 수단

코덱스 인버스 ETF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포트폴리오 가치가 하락 위험을 관리하거나, 시장 하락 시 투자 전략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3. 단기 투자에 적합

코덱스 인버스 ETF는 일별 수익률을 추종하므로,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의 왜곡으로 인해 기초 지수의 누적 하락률과 ETF의 누적 수익률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횡보 장세에서는 오히려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4. 낮은 운용 보수

코덱스 인버스 ETF 상품은 일반적인 액티브 펀드에 비해 운용 보수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5. 선물 지수 추종

KOSPI 200 현물 지수가 아닌 KOSPI 200 선물 지수(F-KOSPI 200)를 기초 자산으로 하기 때문에 선물 시장의 특성(만기, 롤오버 비용 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6. 거래의 용이성

코덱스 인버스 ETF 상품 또한 코덱스 레버리지 ETF 상품과 마찬가지로 일반 주식처럼 한국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습니다.

 

7. 높은 변동성 주의

시장이 예상과 달리 상승할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도 필요하겠습니다.

2024.04.27 - [금융교육] - ETF란, ETF 투자 방법 그리고 ETF 종류, 자산운용사 ETF 브랜드

 

ETF란, ETF 투자 방법 그리고 ETF 종류, 자산운용사 ETF 브랜드

ETF란 무엇인가 그 뜻과 ETF 투자 방법 그리고 ETF 종류, 자산운용사 ETF 브랜드, ETF 투자 장단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개별

iluilukr.tistory.com

 

국내 상장된 레버리지 ETF 상품

국내 상장된 레버리지 ETF 상품의 경우 기초 지수 일별 수익률의 2X배수를 추종하도록 설계가 되어있고, 3X배수 레버리지 ETF 상품은 없습니다.

 

해외의 경우 다양한 3X배수 레버리지 ETF 상품이 있으며, 국내 투자자들의 경우 해외 주식 투자를 통해 이러한 상품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1. 국내 인기 레버리지 ETF 상품

1) KODEX 레버리지(122630)

삼성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국내 최초의 레버리지 ETF로, 높은 거래량과 순자산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KOSPI 20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X배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입니다.

 

2) TIGER 레버리지(123320)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KOSPI 200 지수 2X배 레버리지 ETF 상품으로, KODEX 레버리지와 함께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ETF 상품이 되겠습니다.

 

3)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233740)

코스닥 15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X배수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ETF 상품으로,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습니다.

 

2. 해외 레버리지 ETF 상품

  •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ETF (SOXL):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3X배수로 추종
  • Direxion Daily Financial Bull 3X Shares (FAS): 금융 섹터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3X배수로 추종
  • Direxion Daily Energy Bull 3X Shares (ERX): 에너지 섹터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3X배수로 추종
  • ProShares UltraPro QQQ (TQQQ): 나스닥 10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3X배수로 추종

 

2024.07.05 - [금융교육] - 미국 주식 사는 법 그리고 QQQ, TQQQ, SQQQ ETF 의미와 차이점

 

미국 주식 사는법 그리고 QQQ, TQQQ, SQQQ ETF 의미와 차이점

미국 주식 사는 법 그리고 QQQ, TQQQ, SQQQ ETF의 의미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사는법미국 주식 사는 법에는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을 증권사

iluilukr.tistory.com

 

2024.08.22 - [금융교육] - SOXL ETF,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and Bear 3x 주가 전망

 

SOXL ETF,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and Bear 3x 주가 전망

SOXL ETF 란 무엇인지 그리고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and Bear 3X 주가 전망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SOXL ETF 란SOXL ETF 란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티커 SOXL)로, 미국

iluilukr.tistory.com

 

국내 상장된 인버스 ETF 상품

국내 상장된 인버스 ETF 상품 또한 코덱스 레버리지 상품과 마찬가지로 기초 지수의 일별 수익률이 -3X배수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버스 ETF 상품은 상장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 -1X배수 또는 -2X배수로 설계된 ETF 상품입니다.

 

국내 인기 인버스 ETF 2X배수 ETF 상품

1) KODEX 200 선물인버스 2X(252670)

KODEX 200 선물인버스 2X ETF 상품은 F-KOSPI 200 선물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X배수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ETF 상품으로,  '곱버스'라고도 불리며, 국내 2X배수 인버스 ETF 중 거래량이 가장 활발한 상품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2) TIGER 200 선물인버스 2X(252710)

TIGER 200 선물인버스 2X ETF 상품은 미래에셋자산운용사에 운용하고 있고, F-KOSPI 200 선물 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X배수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또 다른 대표적인 ETF 상품으로, KODEX 200 선물인버스 2X와 함께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종목입니다.

 

3) RISE 200 선물인버스 2X(252420)

RISE 200 선물인버스 2X ETF 상품은 KB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고 있고, 코스피 200 선물지수의 일간 수익률의 -2X배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ETF 상풍입니다.

 

미국 인기 인버스 ETF 3X배수 ETF 상품

1) Direxion Daily S&P 500 Bear 3X Shares(SPXS)

Direxion Daily S&P 500 Bear 3X Shares ETF 상품은 미국 시장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로, S&P 500 지수의 일별 수익률의 -3X배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ETF 상품이며, 성과의 역수(반대)의 300%에 해당하는 일별 투자 결과를 추구하는 상품인 만큼 지수가 상승하면 상승폭의 세 배수만큼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2) ProShares UltraPro Short S&P500(SPXU)

ProShares UltraPro Short S&P500 ETF 상품 또한 인버스 ETF 상품으로, S&P 500 지수에 대해 -3X배수 레버리지를 갖는 상품으로 S&P 500 지수의 일별 성과의 역수의 세 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Direxion Daily Small Cap Bear 3X Shares(TZA)

Direxion Daily Small Cap Bear 3X Shares ETF는 미국 소형주를 대표하는 러셀 2000 지수의 일별 성과의 역수의 300%를 목표로 하는 ETF 상품입니다.

 

4) ProShares UltraPro Short Russell2000(SRTY)

ProShares UltraPro Short Russell2000 ETF 상품은 러셀 2000 지수의 일별 성과의 역수의 세 배를 추구하는 또 다른 ETF 상품 중 하나입니다.

 

5) ProShares UltraPro Short Dow30(SDOW)

ProShares UltraPro Short Dow30 ETF 상품은 미국의 대표적인 우량주 30개로 구성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의 일별 성과의 역수의 세 배를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ETF 상품입니다.

 

2025.03.31 - [금융교육] -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투자란 무엇이고, 국내 ETF와 해외 ETF 상품 종류 살펴보기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투자란 무엇이고, 국내 ETF와 해외 ETF 상품 종류 살펴보기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투자란 무엇이고, 국내 ETF와 해외 ETF 상품 종류에는 가각 어떤 ETF 상품들이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레버리지와 인버스의 의

iluilukr.tistory.com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상품은 종목코드가 '233740'이고, 기초지수는 코스닥 150 레버리지 지수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사입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상품의 상장일은 2015년 12월 16일이고, 총보수는 연 0.64%이며, 순자산 규모는 대략 1,885억 원입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의 특징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상품은 코스닥 150 지수의 일별 수익률 2X배수를 추종하고, 코스닥 150 지수가 상승할 때 그 상승폭의 두 배만큼의 수익을 추구하지만 반면, 지수가 하락하면 하락폭의 두 배만큼 손실이 발생합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는 코스닥 150 지수의 일간 수익률의 양(+)의 2X배수 성과를 추종함으로써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일별 수익률을 2X배를 추종하기 때문에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왜곡으로 인해 기초 지수의 누적 수익률과 ETF의 누적 수익률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시장이 횡보 시에는 오히려 가치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을 활용하여 코스닥 시장의 상승이 예상될 때 투자하여 높은 기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 상품이 되겠습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차트분석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의 주가 움직임을 그래프 차트분석으로 살펴보면, 추세적으로 하락 추세의 연장 선상 구간에 있고, 최근 단기 전저점 가격대인 6,200원 가격대 아래로 잠시 하락 및 이탈되기도 하였나 재차 반등을 하며 삼중 바닥을 형성한 형국이 되었습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주가가 추세적으로 상승 흐름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상단 추세의 저항 가격대인 8,000원을 돌파하고 안착하여야 하겠습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주가의 상단 매물 저항 가격대는 1차 7,300원, 2차 8,000원으로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 주가의 보조지표를 분석해 보면, 추세 지표는 우상향 흐름을 이어가고는 있으나 그 추세의 강도는 약하고, 그리고 실시간 시장의 강도 지표는 데드크로스 이후 하락 추세로 전환되어 이어지고 있는 형국입니다.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ETF가 이렇다 할 강한 흐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현재 구간은 변곡구간으로 조금 더 지켜보면서 그 전망에 대해 판단하여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