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한 국내 환율 상승과 인플레이션 그리고 금리인상 등 주요 대내외 글로벌 변수들로 인해 국내 주식시장 또한 단기 하락폭이 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따라서 코스피 일봉, 주봉, 월봉, 년봉 순으로 한 번씩 분석을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기업의 성장가치와 실적 그리고 모멘텀 분석이 의미가 없을 정도로 어려운 국내 주식장이 되어 버린 듯합니다.
기업의 주식을 살 때 어떤 기준과 잣대로 바라보아야 하는가 하는 의문을 던지도 하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가치주란 무엇이고 성장주란 어떤 섹터를 말하는 것인지
국내 주식은 최근 테마주 위주로 짧게 상승하고 다시 조정을 받는 그러한 단타 시장이 되어 버린 듯합니다.
국내 주식시장이 특히나 어려운 직면에 갈 수도 있다는 경계감이 최근 환율 상승과 더불어 사상 초유의 대출 잔액, 금리인상 기조, 부동산 가격의 거품 등 너무나 굵직한 시장의 위험 요소가 잔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현재 시장의 기조는 역시나 차트에서 그대로 반영이 되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코스피 차트를 일봉, 주봉, 월봉, 년봉 순으로 전체적인 느낌을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피 일봉차트
코스피 일봉 차트를 보시면 추세의 지지선 하단 부근에서 반등이 나온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때 개인들은 팔았고 기관과 외국인들은 매수를 하였답니다.
결국 개인의 포지션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보조 지표를 보시면 반등도 가능한 것으로 보이는데, 다만 상단 이평선의 저항선들이 많다 보니 쉽게 뚫고 위로 계속적인 상승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드실 겁니다.
전체적인 차트의 방향성과 분위기를 짚어 보는 느낌으로 보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코스피 주봉차트
코스피 주봉 차트입니다. 일봉 차트와 마찬가지로 추세의 지지선 부근이고, 금일 오르는 듯 보였지만 주봉의 상단 이평선 부근까지 갔다가 밀려 내려온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결국 일봉, 주봉 모두 차트를 꼼꼼히 체크를 해야 한다는 것이겠죠.
보조지표 시그널을 보면 일봉에서는 상승도 가능해 보이는 자리였는데, 주봉으로 접근을 하니 하락이 조금 더 있을 수 있다는 느낌이 드실 겁니다.
그리고 상승 시 거래량이 현저히 늘어야 한다는 것도 체크 포인트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코스피 월봉차트
코스피 월봉으로 접근을 해보면 거래량 부분이 확연하게 줄어든 모습이 눈에 들어오실 겁니다.
거래량이 급감을 하고 있고 계단식 하락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는 코스피 월봉 차트입니다.
아무래도 월봉이다 보니 개인들이 얼마나 기다려 가며 중장기적 접근으로 매수, 매도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추세란 정말 중요한 기준이고 포인트라는 것입니다.
월봉으로 보면 바로 내려가지는 않을 듯 보이고 어느 정도 시간 조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코스피 년봉 차트
마지막으로 코스피 년봉 차트입니다.
지난 저점이 1500 포인트가 눈에 들어오실 겁니다. 그리고 현재 코스피 년봉은 장대 음봉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시장이 희망적이라면 대략 1900 포인트 정도까지 하단 지지선을 테스트할 것으로 보이나, 만약 내년도 경기가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을 한다면 지난 전저점 부근까지도 테스트를 할 수 있다고 전제를 하고 매매에 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상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글로벌 국가들이 자국 보호주의를 선택하고 있으며, 한국이 누리던 그동안의 기술적 가치와 부 그리고 생태계가 하나둘씩 그 영역을 잃어갈 수도 있습니다.
영원히 누릴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 누릴 수 있는 시간은 조금 더 늦출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가치관과 지혜가 정말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금융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지수 분석을 통한 금융시장 흐름 예측 (2) | 2023.10.22 |
---|---|
글로벌 주요 지표 발표 일정 정리 (4) | 2022.11.01 |
달러 환율과 우리 경제의 관계 그리고 관련 수혜주 (6) | 2022.09.26 |
코스피 지수 분석 및 주식종목 분석 (2) | 2022.05.19 |
주말 비트코인 차트분석 및 글로벌 금융시장 시황 (8) | 2022.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