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시황

미국 M7 주가와 나스닥 종합 지수, 중국판 M7 주가와 홍콩 항셍 지수 비교 분석 그리고 M7 이란

by 차트는말한다 2025. 3. 21.
반응형

목차 ▽열기

 

안녕하세요, 금융 트레이너 '차트는말한다' 입니다.

 

오늘은 주요 글로벌 금융시장 이슈와 뉴스 그리고 M7에 대해서 간략하게 리뷰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M7

M7이란 한글로는 '매그니피센트 7'이라 하고, 영문으로는 'Magnificent 7'이라 표기하며, 미국 증시의 상승을 이끄는 대표적인 IT기업이자 대형 기술주인 빅테크 기업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알파벳(Alphabet, 구글), 아마존(Amazon), 테슬라(Tesla), 엔비디아(NVIDIA),  메타(Meta, 구 페이스북)를 일컬어 표현하는 말입니다.

 

M7 주가는 미국 기술주를 대표하는 나스닥 100 지수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기업들의 시가 총액은 15조 6,000억 달러로 한화로는 대략 2경 2,800조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반응형

연초 17조 6,100억 달러 수준이든 M7의 시가총액은 무려 14.5% 줄어든 수치를 보이고 있어, 주가의 흐름이 얼마나 지지부진한 것인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수치가 되겠습니다.

 

M7 관련 뉴스에 대해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원문을 참고해도 좋을 듯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67532

 

M7 주가 떨어지는 동안 ‘중국판 M7’ 급등…시총 격차 좁혀

미국 기술주의 대표로 꼽히는 매그니피센트7(M7)의 주가가 하락하는 사이 ‘중국판 M7’의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체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면 아직 중국이 미국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나

n.news.naver.com

 

또한, 미국 IT기업 및 기술주 중심의 빅테크 기업이 속한 나스닥종합 지수의 최근 흐름을 살펴보아도 M7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가 있겠으며, 차트분석을 통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스닥 종합 지수

나스닥 종합 지수의 주가 흐름을 그래프 차트분석으로 살펴보면, 나스닥 종합 지수는 추세적으로 우상향 정배열 패턴에서 추세의 하단 지지선 가격대를 하회 및 이탈하면서 역배열 하락 추세로 전환이 된 형국입니다.

 

나스닥 종합 지수는 그동안 지켜오던 하단 지지선 가격대인 19,000 포인트 아래로 하락하면서 지수가 급락하였고, 현재 나스닥 종합 지수는 17,691 포인트 전후 부근 가격대에서 위치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종합 지수의 고점 가격이 최고 가격대인 20,204.581 포인트로, 해당 고점 가격 대비 무려 대략 14% 정도 하락한 모습입니다. 

 

나스닥 종합
나스닥 종합

 

나스닥 종합 지수에서 찾지 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 비중이 큰 만큼, 나스닥 종합 지수 흐름을 통해 M7 종목들의 주가 흐름도 어느 정도 예측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테슬라 주가는 연초 최고 가격대인 488.5399 달러까지 상승하였고, 연초 시가총액 1조 300억 달러에서 현재 7,247억 달러로 44.2% 감소한 상황이며, 애플은 최고점 가격 260.1000 달러에서 현재 214.0700 달러로 하락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외에 메타 주가는 최고점 가격 51.7400 달러를 기록한 이후 현재 31.9900 달러에서 거래가 되고 있고, 아마존닷컴은 최고점 가격 242.5200 달러 경신 이후 현재 195.3500 달러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최고점 경신 이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홍콩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술 기업으로 구성된 중국판 M7 기업들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 전혀 다른 주가 흐름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판 M7 기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M7

중국판 M7 기업은 텐센트 홀딩스, 샤오미, 알리바바 그룹 홀딩, 중신궈지(SMIC), 비야디(BYD), 징동닷컴, 넷이즈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 11조 8500억 홍콩 달러로 원화로 약 2226조 원에 이르고 있으며, 연초 대비 대략 44% 이상 급등을 하였습니다.

 

중국 M7 기업 텐센트 홀딩스 주가는 연초 365 HKD에서 현재 518.500 HKD로 41% 상승하였고, 텐센트 시가총액은 한화로 대략 900조 원에 이르고 있으며, 그리고 알리바바는 연초 78 HKD에서 현재 133.600 HKD로 70% 상승하였고, 시가총액은 한화로 대략 477조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국 M7 기업들이 연초 대비 많은 주가 상승을 하였으며, 미국의 기술들이 주춤한 사이 홍콩 증시의 중국 기업들이 상승한 배경에는 AI 모델인 딥시크의 출현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중국 M7 기업들이 속한 홍콩 거래소 HSI 항셍 지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홍콩항셍지수(HSI)

중국판 M7 빅테크 기업들이 포함된 홍콩항셍지수는 2024년 역배열 추세 흐름에서 벗어나 우상향 정배열 추세를 만들고 급등을 하고 있는 모습의 차트입니다.

 

2024년 홍콩항셍지수는 최저점 14,800 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상승하며 현재는 24,100 포인트 전후 부근 가격대에서 거래가 되고 있으며, 연초 대비 대략 100%에 가까운 상승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홍콩항셍지수는 전고점 가격대 23,000 포인트를 돌파한 상태로, 앞으로 지수 움직임에 많은 주목이 되기도 합니다.

 

홍콩항셍지수
홍콩항셍지수

 

홍콩항셍지수가 단기간 동안 많은 가격 상승이 있었고, 현재 상승 구간에서 전고점 가격대 매물 구간들이 층층이 존재하고 있어, 이후 지수 상승의 흐름은 제한적 상승에 그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참고 자료들

추가적으로 참고하시면 좋을 내용들로, 나스닥종합지수, S&P500, 나스닥 100 선물 지수 등의 정의와 그 의미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는 자료들입니다.

 

2024.02.25 - [금융교육] - S&P500(SPX) 지수, 나스닥 지수 그리고 나스닥지수 실시간

 

S&P500(SPX) 지수, 나스닥 지수 그리고 나스닥지수 실시간

미국을 대표하는 3대 지수인 S&P500(SPX)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지수 그리고 나스닥지수 실시간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의 대표 지수들은 유

iluilukr.tistory.com

 

2023.12.24 - [금융시황] - 나스닥 종합 선물 지수 차트 2024년 전망

 

나스닥 종합 선물 지수 차트 2024년 전망

2024년 새해 '갑진년 (甲辰年) 푸른 용의 해'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새해도 밝아 오니 마음도 다시 가다듬고 힘차게 금융 공부를 시작하였으면 합니다. 오늘은 나스닥 종합 주가 지수 차트분석

iluilukr.tistory.com

 

코멘트

좋은 자료들이나 참고할 만한 사항들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제안을 부탁드리며, 의견 공유도 하였으면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오전 금융 관련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차트는말한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